Published on May 31, 2009
Published on May 31, 2009

격조에 대한 추구는 구석 곳곳에 있습니다.

 
화장실의 세면대에는 배수구가 없고, 세면대의 앞쪽을 들어서 배수하는 보기 드문 방식입니다.
 
세면대에는 LIFT UP이라는 문자와 함께, 당시 런던의 유명 도자기 제조사인 DOULTON & Co의 이름도 보입니다. 현재에도 ROYAL DULTON의 상호로 격조 높은 제품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지하로 향한 계단 (비공개) 지하에는 고용인이 사용하는 통로나 고용인의 방이 있습니다.
 

서양관의 기초 벽돌에는 당시 형무소에서 제조된 것임을 나타내는 벚꽃 문양이 각인되어 있습니다.


 

서양관 1층의 홀 측면의 화장실은 창건 당시에도 드물던 수세식으로, 일본에서도 초창기의 수세식이라 짐작됩니다.
서양관 홀에는 낡은 가스식 히터가 놓여 있습니다. 아르누보풍의 장식에서도 격조가 느껴집니다.

서양관 지하에는 종횡으로 통로가 있어, 바삐 움직이는 고용인의 모습이 보이는 듯  합니다. (비공개)
서양관은 수많은 벽돌 기둥으로 지탱되어 있습니다. (비공개)

당구실로 이어지는 지하도 입구 (비공개)
 
화장실의 세면대에는 배수구가 없고, 세면대의 앞쪽을 들어서 배수하는 보기 드문 방식입니다.
 
세면대에는 LIFT UP이라는 문자와 함께, 당시 런던의 유명 도자기 제조사인 DOULTON & Co의 이름도 보입니다. 현재에도 ROYAL DULTON의 상호로 격조 높은 제품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지하로 향한 계단 (비공개) 지하에는 고용인이 사용하는 통로나 고용인의 방이 있습니다.
 

서양관의 기초 벽돌에는 당시 형무소에서 제조된 것임을 나타내는 벚꽃 문양이 각인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