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shed on August 7, 2017
Published on August 7, 2017

일본에서 최초의 일본 미술사 연구가 이곳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어네스트 페노로사, 오카쿠라 텐신 「일본 미술사」 강의록(니이로 츄노스케 구 소장 자료,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
메이지 20년(1887)에 설립된 동경 미술학교는 메이지 22년(1889)에 첫수업이 시작되었습니다. 어네스트 페노로사의 「미학급미술사」는 일본 최초의 일본 미술사 수업이었습니다. 이 수업은 텐신의 통역으로 메이지 23년(1890)까지 개설되어 페노로사가 사임한 후에 텐신이 이어 받았습니다. 본 자료는 도쿄 미술학교에서 다카무라 코운에게 주조를 배운 니시하라 이타로(1871-1912)가 필기한 것입니다. 니시하라는 미술학교 제 2기생(1889)으로 이후에 도다이사 대불전의 국보 금동팔각등롱 수리 등에 참여했지만 42세에 요절했습니다. 니시하라의 동기인 니이로 츄노스케가 본 강의록을 소유하게 된 경위는 불분명하지만 정리된 형식이나 강의자를 교수로 수정한 것으로 보아 메이지 24년(1891) 10월 이후에 기존의 강의록을 옮겨 쓴 것으로 여겨집니다.

 
어네스트 페노로사, 오카쿠라 텐신 「일본 미술사」강의록(니이로 츄노스케 구 소장자료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

 

오카쿠라 텐신 「The Ideals of the East」(초판,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
일본 제목인 「동양의 이상」은 ‘Asia is one.’ 라는 유명한 서두로 시작합니다. 메이지 36년(1903) 존 머레이 출판사(런던)에서 출판되었습니다. 영문으로 저술된 미술론에서 문명론에 이르는 텐신의 첫 저서입니다.
 

오카쿠라 텐신 「The Awakening of Japan」(초판, 메이지 37년(1904),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
일본 제목 「일본의 각성」은 보스턴 미술관 업무를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을 때 센츄리 출판사(뉴욕)에서 출판되었습니다. 도쿠가와 막부 성립부터 메이지에 이르는 역사를 정치와 사상의 측면에서 논하고 있습니다.
 

오카쿠라 텐신 「The Book of Tea」(초판, 메이지 37년(1904),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
일본 제목 「차의 책」은 일본의 다도를 통해 동양의 아름다움과 예술의 정신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차의 책」의 일본어 번역본은 인터넷 전자도서관 ‘아오조라분코’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어로 쓰여진 원서도 전자 도서관 Project Gutenberg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아오조라분코 「차의 책」LinkIcon
 
The Book of Tea LinkIcon

 니이로 츄노스케(1869-1954)는 도쿄 미술학교에서 다카무라 코운에게 사사하며 조각을 배웠습니다. 졸업과 동시에 학교의 조교수로 취임했지만, 메이지 31년(1898)에 텐신을 따라 사직하고 일본 미술원 창립에 참여했습니다. 텐신 사후의 일본 미술원 재흥 때 일본 미술원 제2부(조각)는 국보 등의 수리, 복원을 전문으로 하는 미술원으로 니이로를 책임자로 하여 독립했습니다. 미술원은 현재 공익재단법인 미술원으로 교토시 시모교구의 국보 수리소에서 국보와 중요 문화재 등의 복원을 실시함과 동시에 복원 기술자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니이로는 일본 미술원 제2부 설립시에 다카무라 코운을 고문으로 초빙했습니다. 니이로는 도다이사 불공견색관음입상 복원, 백제 관음상 모조(도쿄 국립박물관 소장)의 제작 등에 참여했습니다.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은 헤이세이 26년(2014)에 니이로 가에서 니이로 츄노스케의 소장 자료의 기증을 받았습니다. 일본 미술원, 문화재 보호행정, 도쿄 미술학교, 보스턴 미술관 등에 관한 다방면에 걸친 자료에는 페노로사, 텐신의 강의록인 「일본 미술사」나 텐신 등의 서한 등, 귀중한 자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텐신이 메이지 41년(1908) 3월 25일에 머물고 있던 보스턴에서 당시 도다이사 대불전의 수리에 임하고있던 니이로에게 동행했던 역사학자 구로이타 가쓰미(1874-1946)와의 연명으로 보낸 엽서입니다. 텐신은 도다이사 대불전 수리를 위해 기부금을 모금하고 있다는 취지를 적었습니다.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

중국(청나라) 출장중인 텐신(메이지 26년(1893) 개봉부 근처의 여관에서,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
하야사키 코키치는 메이지 24년(1891)에 상경, 하시모토 가호 밑으로 입문함과 동시에 텐신의 서생이 되었습니다. 메이지 25년(1892)에 도쿄 미술학교에 입학하고 중국미술의 취재에 조수로 동행한 것을 계기로 중국예술 연구를 지향했습니다. 하야사키가 촬영한 중국 취재 당시의 사진을 통해 텐신이 현지 복장에 변발을 틀고 여행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본 미술원 구미전 신문기사 절취첩(메이지 37년(1904)-38년(1905) 무렵,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
텐신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간 다이칸, 슌소는 미국 각지와 유럽을 돌며 전시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전하는 신문기사를 수집한 신문기사 절취첩은 표지를 포함해 52페이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텐신의 미국 체류기간 동안 출판한 「The Awakening of Japan」나 신문 논설 「Japan and the 'Yellow Peril'」등의 귀중한 자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버드 대학 학위 수여식에서의 텐신(메이지 44년(1911),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
 
하버드 대학에서 받은 문학석사 ‘Masters of Arts’ 학위 수여식 참석에 대한 신문기사. 기사의 좌우 글은 동생인 요시사부로가 쓴 것입니다.

 
 
니이로 츄노스케, 다카무라 세키에게 보낸 텐신의 서한(메이지 32년(1899),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
다카무라의 접대에 대한 감사와 니이로의 도야마 행에 대한 의뢰. 서한 뒷면에는 '도쿄 야나카 일본 미술원 오카쿠라 카쿠조’라고 쓰여 있습니다.
 
 
 
니이로 츄노스케에게 보낸 텐신의 서한(메이지 38년(1905),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
이바라키현 이즈라로 옮긴 후의 서한. ‘히타치노쿠니 오즈마치 이즈라 오카쿠라 카쿠조’라고 쓰여 있습니다.
  
 

아서 페어뱅크스가 보낸 니이로 츄노스케에 대한 의뢰서(왼쪽, 메이지 44년(1911),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
텐신이 보스턴 미술관에 추천한다는 취지의 서한(오른쪽, 메이지 44년(1911),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
보스턴 미술관 관장인 페어뱅크스의 서한에는 텐신이 니이로를 새로운 보스턴 미술관의 중국/일본 미술 부문의 고문으로 추천했으며 이를 승인하고 위촉한다는 내용이 쓰여 있습니다. 그리고 같은 날에 텐신은 니이로를 추천하였으며 이에 승낙을 하라는 취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구키 류이치에게 보내는 텐신의 서한(다이쇼 2년(1913),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

구키 류이치(1852-1931)는 메이지시대의 미술 행정에 힘을 쏟아 문부쇼유(현재의 차관에 해당하는 직급)와 제국 박물관 총장 등을 역임했습니다. 메이지 31년(1898)에 텐신이 동경 미술학교 교장을 사임한 후에도 교류는 계속되었습니다. 다이쇼 2년(1913) 8월 1일, 텐신은 구키로부터 이듬해의 미일 교환 교수로 추천 받고 이에 대해 동의하는 취지의 답장을 8월 9일에 보냈지만, 같은 해 9월 2일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참고문헌
1)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자료목록」(헤세이 19년(2007) 10월 발행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2)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 「니이로 츄노스케 구 소장자료 목록, 「일본 미술사」 강의록, 서간편」(헤세이 28년(2016) 3월 28일 발행,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조성: 공익재단법인 폴라 예술진흥재단)
3) 이바라키대학 「육각당 재건의 궤적」(헤세이 24년(2014) 3월 15일 발행, 이바라키대학, 제작: 이바라키신문사)
 
자료제공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이바라키대학 이즈라 미술문화 연구소, 이츠우라 관광호텔 다이칸소

오카쿠라 텐신 「The Ideals of the East」(초판,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
일본 제목인 「동양의 이상」은 ‘Asia is one.’ 라는 유명한 서두로 시작합니다. 메이지 36년(1903) 존 머레이 출판사(런던)에서 출판되었습니다. 영문으로 저술된 미술론에서 문명론에 이르는 텐신의 첫 저서입니다.
 

오카쿠라 텐신 「The Awakening of Japan」(초판, 메이지 37년(1904),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
일본 제목 「일본의 각성」은 보스턴 미술관 업무를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을 때 센츄리 출판사(뉴욕)에서 출판되었습니다. 도쿠가와 막부 성립부터 메이지에 이르는 역사를 정치와 사상의 측면에서 논하고 있습니다.
 

오카쿠라 텐신 「The Book of Tea」(초판, 메이지 37년(1904), 이바라키현 텐신 기념 이즈라 미술관 소장)
일본 제목 「차의 책」은 일본의 다도를 통해 동양의 아름다움과 예술의 정신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차의 책」의 일본어 번역본은 인터넷 전자도서관 ‘아오조라분코’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어로 쓰여진 원서도 전자 도서관 Project Gutenberg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아오조라분코 「차의 책」LinkIcon
 
The Book of Tea LinkI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