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shed on November 1, 2007
Published on November 1, 2007

이노 타다타카의 측량 여행은 제2의 인생이었습니다.


지도 제작에 사용된 제도 도구 한 벌
 일본 지도 편찬에 큰 공헌을 한 이노 타다타카는 ‘시모사노 쿠니사와라(현 지바현)’의 이노 가문의 가업에도 충실한 한편, 수학 및 측량, 천문 등을 연구하고, 한시와 쿄쿠(풍자와 익살을 주제로 한 짧은 시)도 즐겨, 자를 ‘시세이’라 하고 호를 ‘토가’라 하였습니다. 50세에는 가독(家督:그 집의 상속인 지위)을 양도하고 에도로 나와 타카하시 요시토키의 문하로 들어가 서양 역법, 측량법을 배웠습니다. 1800년에는 막부에 스스로 청하여 에조치(현 북해도) 동남해안의 측량에 착수한 이래 18년 간, 전국 각지를 측량하며 다녔습니다. 하지만, 지도는 완성하지 못하고 1818년에 74세의 나이로 사망했습니다.
 지도 제작은 그 후에 막부의 천문 기관이 이어받아 사후 3년인 1822년에 「대일본연해여지전도」로서 완성되었습니다. 이 지도는 「일본여지전도」, 「실측여지전도」로도 불리지만, 일반적으로 「이노즈」라고도 합니다. 이노 타다타카의 묘지는 겐쿠지 묘지(다이토구 히가시우에노)에 있고 묘석에는 ‘토가 이노 선생의 묘’라 새겨져 있습니다. 이노 타다타카는 유언으로 그의 스승 옆에 묻히기를 청했다고 합니다. (참고: 다이토 명소 도회)

중형 상한의
상한의는 측량을 위한 관측 기구입니다. 이노 타다타카의 스승인 하자마 시게토미가 「레이다이 기쇼시 (Ferdinand Verbiest 저 1674)」등을 참고해서 제작하게 한 천체의 각도 측정기입니다. 상한의에는 1/4원형의 반경 6척인 대형 상한의와 반경 3.8척인 중형 상한의가 있어, 전국 측량에는 중형이 사용되었습니다.

지구의 (18세기 초 제작)
일본인이 제작한 지구의. 예수회의 선교사 마테오 리치가 전한 지도가 그려져 있습니다. 서양에서 전해진 지구의나 천구의는 막부 천문 기관의 시부카와 슌카이가 1690년에 최초로 제작하였다고 전해집니다.
천구의 (1855년)
메이지 이전의 일본 천문학은 중국의 영향하에 있어, 중국 고유의 별자리가 사용됐지만, 이 천구의는 서양 천문학을 도입한 「기쇼 코세이(1752)」를 기본으로 삼았다고 여겨집니다. 1858년 8월에 출현한 도나티 혜성의 하루하루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성좌 지도[복제] (1813년)
타카모리 칸코(1750-1830)가 그린, 은하수도 그려진 특유의 색채에 의한 별자리 그림. 칸코는 기구 제작에 능하여 팔분의, 상한의(사분의), 온도계, 천문 시계 등의 많은 과학 기계를 남겼습니다. 히라가 겐나이가 수리 제작한 ‘에레키테루(수동 마찰 발전 장치)’등도, 독자적으로 제작했다고 전해집니다.
천문성상도(복제, 1699년)
일본인의 관측에 의한 최초의 천체도. 시부카와 슌카이가 제작한 천체도는 1670년에 제작된 「천문열차지도」와 1677년에 제작된 「천체분야지도」가 있습니다. 둘 다 중국의 천체도를 기본으로 별자리 명과 중국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슌카이가 스스로 관측한 61좌 308성을 더한 천체도입니다.
켄나와(못줄, 복제)
에도 시대의 측량은 서양과 같은 광학적인 측량 기구가 없었던 이유로, 겨우 수백 미터를 보폭, 혹은 못줄이나 막대자, 대자, 사슬자 등으로 직접 측량했습니다. 모두 오차가 있었기 때문에 이노 타다타카는 전국 측량 시에 조금이라도 오차를 줄이기 위해 쇠사슬자를 사용했습니다.
이노 타다타카가 사용한 료테이샤(복제)
료테이샤는 바퀴와 연동하는 톱니바퀴 기구를 이용하여 바퀴 둘레 길이를 톱니바퀴 회전 수로 바꿔 거리를 측정하는 도구입니다. 이노 타다타카의 시대에는 여러 가지 방식의 료테이샤가 제작되었습니다. 자료는 사와라시에 있는 이노 타다타카 기념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중형 상한의
상한의는 측량을 위한 관측 기구입니다. 이노 타다타카의 스승인 하자마 시게토미가 「레이다이 기쇼시 (Ferdinand Verbiest 저 1674)」등을 참고해서 제작하게 한 천체의 각도 측정기입니다. 상한의에는 1/4원형의 반경 6척인 대형 상한의와 반경 3.8척인 중형 상한의가 있어, 전국 측량에는 중형이 사용되었습니다.